1. 오라클 11g release2 다운로드
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xe-prior-release-downloads.html
XE Prior Release Archive
Getting Started: Support Oracle Database Express Edition (XE) is a community supported edition of the Oracle Database family. Please go to the Oracle Database XE Community Support Forum for help, feedback, and enhancement requests. Note: Oracle Support Ser
www.oracle.com
2.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 준비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이므로 rpm 파일이 아닌 deb 파일을 설치해야한다.
하지만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파일은 rpm 파일뿐이므로 rpm 파일을 deb 파일로 변경해야한다.
파일 변환 이외에도 필요한 패키지를 미리 다운 받는다.
apt-get install -y alien libaio1 unixodbc
alien : rpm을 deb로 변환해주는 툴
libaio1 : Linux 커널의 비동기 입출력(Asynchronous I/O)를 위한 라이브러리
unixodbc : ODBC (Open Database Connectivity) 라이브러리
3. 파일 압축 해제
다운받은 오라클 설치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내 경우에는 Downloads 폴더에 설치 파일이 있다.
unzip /home/[계정명]/Downloads/oracle-xe-11.2.0-1.0.x86_64.rpm.zip
4. rpm 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
alien을 이용하여 rpm 타입인 설치 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한다.
시간이 좀 걸리므로 여유를 가지고 기다린다.
alien --scripts -d Disk1/oracle-xe-11.2.0-1.0.x86_64.rpm
5. /sbin/chkconfig 파일 생성
vi /sbin/chkconfig
#!/bin/bash
# Oracle 11gR2 XE installer chkconfig hack for Ubuntu
file=/etc/init.d/oracle-xe
if [[ ! `tail -n1 $file | grep INIT` ]]; then
echo >> $file
echo '### BEGIN INIT INFO' >> $file
echo '# Provides: OracleXE' >> $file
echo '# Required-Start: $remote_fs $syslog' >> $file
echo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file
echo '# Default-Start: 2 3 4 5' >> $file
echo '# Default-Stop: 0 1 6' >> $file
echo '# Short-Description: Oracle 11g Express Edition' >> $file
echo '### END INIT INFO' >> $file
fi
update-rc.d oracle-xe defaults 80 81
#EOF
(vi에서 입력을 마친 뒤 esc를 누른 후 ':wq'를 입력하면 저장할 수 있다.
파일 생성이 끝나면 755로 권한을 설정한다.
chmod 755 /sbin/chkconfig
6. Oracle XE 패키지 설치
dpkg --install oracle-xe_11.2.0-2_amd64.deb
7. Oracle XE 초기 설정
/etc/init.d/oracle-xe configure
8. 환경변수 설정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환경변수를 설정한다.
/etc 에 profile 이라는 파일이 있는데 쉘에 로그인할 때 최초로 로드되는 환경변수들을 설정할 수 있다.
vi /etc/profile
다음 파일의 맨 아랫줄에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export ORACLE_HOME=/u01/app/oracle/product/11.2.0/xe
export ORACLE_SID=XE
export NLS_LANG=`$ORACLE_HOME/bin/nls_lang.sh`
export ORACLE_BASE=/u01/app/oracle
expor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LD_LIBRARY_PATH
export PATH=$ORACLE_HOME/bin:$PATH
위와 같이 profile 파일을 수정하여 Oracle 환경변수 설정을 한 뒤
source 명령어를 통해 설정을 적용한다.
source /etc/profile
9. Oracle 작동 확인
오라클 계정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Oracle 리스너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lsnrctl status
마지막줄에 The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 라고 출력되면 설치에 성공한 것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날짜 설정 (0) | 2022.12.26 |
---|---|
우분투 20.04 웹서버 구축 (0) | 2022.12.25 |
우분투 20.04 자바 1.8 설치 (0) | 2022.12.25 |
우분투 20.04 부팅 시 오라클 DB 자동실행 (0) | 2022.12.25 |
우분투 오라클 접속 (0)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