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TL을 사용해 Session에 setAttribute() 하기
JSP에서는 session 내장 객체를 사용해 세션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JSTL에서는 태그로 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 때 scope 속성을 session으로 설정하면 세션에 해당 변수명(Key)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있다.
JSP에서는 session 내장 객체를 사용해 세션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JSTL에서는 태그로 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 때 scope 속성을 session으로 설정하면 세션에 해당 변수명(Key)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있다.
JSTL의 태그를 사용해서 HTML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출력할 내용을 입력하는 value 속성 외에도 escapeXml 속성을 false로 설정해주어야한다. escapeXml 속성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true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HTML 태그를 작성하여도 문자열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필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사이에서 내용을 추출하거나 걸러주고(필터링) 요청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로그를 남기거나 인코딩을 설정하는 역할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보안이나 트랜잭션, 에러 처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로 - 보 - 트 - 에) 0. 필터 클래스 작성 필터 역할을 할 클래스를 작성한다. 필터 역할을 하는 클래스는 Fil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아한다. Filter 인터페이스로 구현해야하는 추상 메서드는 3가지가 있다.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 필터 클래스가 초기화될 때 실행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filte..
0. JSP 페이지의 예외처리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다보면 개발자가 예상하지 못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이 에러를 예외(Exception)라고 한다. JSP에서는 디렉티브 태그를 사용해 예외처리를 할 수 있다. 디렉티브 태그에 있는 page 태그의 errorPage 속성은 만약 현재 페이지에서 예외가 발생했을 때 어느 페이지로 이동할지 정해주는 속성이다. 위 코드의 경우 예외가 발생하면 errorPage.jsp라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errorPage.jsp에서는 현재 페이지가 에러를 처리하는 페이지라는 것을 명시해주어야한다. 디렉티브 태그의 page 태그를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isErrorPage 속성을 true로 설정하면 된다. isErrorPage 속성을 true로..
0. 각 언어에 맞게 준비된 properties 파일 준비 1. bundle 태그로 다국어 처리를 할 영역 지정 bundle 태그를 사용해 header부터 footer까지 페이지 전체를 감싸주었다. 물론 setBundle태그를 사용해 scope를 page로 설정하면 페이지 영역에 번들을 설정할 수 있다. 2. 문자를 출력할 위치에 message 태그를 사용 3. 언어 변경 버튼 만들기 a 태그를 사용해 동일한 페이지로 이동하되, 파라미터로 언어코드를 넘겨준다. 4. setLocale에 EL 표현식을 사용해 언어 변경 구현 파라미터로 넘어온 값을 EL 표현식을 사용해 꺼내 setLocale의 value 속성에 넣어준다. 파라미터가 ko일 경우 한글, en일 경우 영문으로 언어가 출력된다. * 실행 결과 -..
1. 한 페이지에 여러 언어 사용하기 setLocale를 통해 출력할 언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다른 setLocale이 나오기 전까지 설정된 언어가 적용된다. bundle 태그를 통해 사용할 번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안쪽에 message 태그를 작성해 key값이 할당된 value를 출력할 수 있다. 2. 선언 따로 출력 따로 setBundle을 통해 원하는 scope에서 사용할 번들을 설정할 수 있다. message 태그에서 bundle 속성으로 사용할 번들을 가져온 다음, key 속성으로 원하는 value값을 가져온다. 그리고 var 속성을 통해 해당 value를 원하는 변수에 저장한다. 이렇게 생성한 변수는 EL 표현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출력할 수 있다.
1. 이름_언어코드.properties 파일 생성 '언어코드'에 kr, en 등 언어코드를 입력하여 properties 파일을 생성한다. 예) message_kr.properties, message_en.properties 내용은 일반적인 properties 파일 형태로 작성한다. key=value 2. 페이지에 디렉티브 태그로 JSTL fmt 설정 3. bundle 태그로 properties 파일 설정 setLocale 태그의 value 속성에 언어코드를 설정한다. properties 파일의 언더바 뒤에 작성한 언어코드를 따라간다. bundle 태그의 basename 속성에 파일경로를 설정한다. basename은 '경로명.파일명'으로 작성하며 파일명은 '_국가코드' 이전의 message 까지만 입력한다..
1. 파일 업로드 준비하기 파일 업로드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파일 업로드를 위해 필요한 form 태그의 속성 1. method가 post 일 것 2. enctype이 multipart/form-data 일 것 3. form 태그 안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태그가 있는가 (기본은 input 태그의 file 타입) * commons-fileupload 파일 다운로드 https://mvnrepository.com 에서 commons-fileupload 검색 Apache Commons FileUpload 다운로드 (예제의 경우 1.3.3을 사용) commons-io를 검색 Apache Commons IO 다운로드 (예제의 경우 2.6을 사용) 2. Form 페이지 작성 JSP 파일을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