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20.04에서 윈도우의 공유폴더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smbclient가 필요하다.
우선 smbclient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smbclient
smbclient가 설치되었다면 같은 내부망에 위치한 윈도우 컴퓨터의 공유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컴퓨터에서 공유폴더를 생성하고 접근을 허가한 상태이어야한다.
-L 옵션에는 공유폴더가 있는 컴퓨터의 이름을 작성하면 되는데 실패할 수도 있다.
그럴 때는 컴퓨터 이름 대신 아이피를 사용하면 된다.
sudo smbclient -L '대상 컴퓨터이름 또는 아이피' -U 해당 컴퓨터 계정명
# 예시
sudo smbclient -L 192.168.0.5 -U homeuser
이렇게 입력하고나면 비밀번호를 요구하는데 윈도우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
다만 윈도우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에는 윈도우 게정을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면 된다.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면서 사용할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 비밀번호를 지금 과정에서 입력해주면 된다.
해당 컴퓨터에 공유폴더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우분투에서 공유폴더를 연결할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해준다.
내 경우에는 /home/user 상위에 share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해주었다.
mkdir /home/user/share
공유폴더를 연결하기 전 cifs-utils 패키지가 필요하므로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cifs-utils
설치 후에 방금 전 생성했던 디렉토리에 윈도우의 공유폴더를 마운트하면 된다.
호스트명의 경우 컴퓨터 이름 또는 아이피를 사용하면 되는데
방금 전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이름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아이피를 사용하면 된다.
sudo mount -t cifs -o user=윈도우사용자명,file_mode=0777,dir_mode=0777 //호스트명/공유폴더명 우분투 마운트경로
이 다음 비밀번호를 요구할 때 위에서와 같이 윈도우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해당 디렉토리에 공유폴더의 파일들이 올라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01.01 |
---|---|
우분투 20.04 SVN 서버 설정 (0) | 2022.12.29 |
리눅스 날짜 설정 (0) | 2022.12.26 |
우분투 20.04 웹서버 구축 (0) | 2022.12.25 |
우분투 20.04 자바 1.8 설치 (0) | 2022.12.25 |